일반의약품/질병정보

갑상선 결절 의미, 원인, 증상, 증세, 진단, 검사, 치료, 수술, 양성

바른건강생활 2023. 3. 19. 00:00
반응형

 

갑상선 결절 의미, 원인, 증상, 증세, 진단, 검사, 치료, 수술, 양성

 

 

갑상선 결절 정의, 의미, 뜻

 

갑상선은 목의 앞에 위치해 있고, 갑상선 연골(물렁뼈)라는 목 부위에 돌출된 부분 2-3cm 아래에 있는 나비모양을 한 기관으로 갑상선호르몬을 분비하는 곳입니다. 갑상선은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 기관 중 하나로 갑상선호르몬을 생산하고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마다 혈액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갑상선호르몬은 신체의 전체 대사과정의 속도를 조절하고 모든 기관의 기능을 적절히 유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열을 만들어 체온을 일정히 유지하고 신체 각 기관의 대사량을 조절해서 태아와 신생아에게 뇌와 뼈의 성장 발달에 필수적 역할을 합니다. 그러므로, 갑상선호르몬이 너무 많으면 신체의 모든 기능들이 빨라져 맥박이 증가하고 땀이 많아지며 손발의 떨림 증상이 나타납니다.

 

그리고, 불안증세와 체온증가 등이 나타나고 상당수에게 체중이 감소하는데 이러한 경우를 갑상선중독증 혹은 갑상선기능항진증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갑상선호르몬이 부족할 때를 갑상선기능저하증이라고 하는데, 갑상선호르몬이 부족하게 되면 몸이 무기력해지고 쉽게 피곤해질 뿐만 아니라 체온도 정상보다 낮아져 추위를 견디기 힘들어합니다.

 

이런 갑상선의 여러가지 원인에 의하여 혹이 생기는 것을 갑상선 결절이라고 합니다. 크기는 수 밀리부터 수 센치미터까지 다양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역학 연구에 의하면 만져질 정도로 커지는 갑상선 결절은 전체 성인 인구의 4-7%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갑상선 결절은 많이 관찰되고 평생을 살다 보면 10명 중 1명에게 만져지는 갑상선 결절이 생기게 됩니다. 갑상선 결절을 지닌 것으로 판단되면 갑상선암에 대해서 걱정을 하게 되는데, 남자는 갑상선 결절의 약 8% 정도만, 그리고 여자는 갑상선 결절의 약 4% 정도만이 암으로 판정됩니다. 그러므로, 전체 만져지는 갑상선결절의 대다수인 90-95%는 암이 아닌 양성 결절입니다.

 

양성 결절의 경우, 원인이 다양하지만 보통 물주머니 혹(단순낭종), 하시모토 갑상선염, 여포선종, 콜로이드 결절 등으로 밝혀집니다. 그러나, 이런 각각의 양성 갑상선 결절의 원인은 아직 뚜렷하지 않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보았을 때 제일 많은 원인 중 하나로 식품의 요오드 부족을 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는 요오드 부족 지역이 아니기에 보통은 이에 해당하지 않고, 요오드를 추가로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오히려 일부 환자의 경우에 음식을 통한 섭취가 아닌 건강식품을 통해서 과잉 섭취한 경우 갑상선 기능 이상을 유발할 수 있기에 피해야 합니다.

 

 

갑상선 결절 증상, 증세

 

대다수의 갑상선 결절은 별다른 증상은 없습니다. 과거에는 비교적 큰 결절이 되서 환자 스스로 갑상선의 결절을 만지게 되거나 거울을 보는 중 앞쪽 목 부위 혹은 발견해서 병원에 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초음파 검사기기의 보급이 보편화되고 활용이 많아짐에 따라서 대다수의 갑상선 결절이 밖에서 만져지거나 튀어나와 보이기 전에 건강검진을 통해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대부분의 갑상선 결절은 갑상선호르몬을 분비하지 않지만 일부 갑상선 결절은 갑상선호르몬을 분비하는 세포로 이루어진 경우가 있고, 이를 기능성 갑상선 결절이라고 합니다. 이 경우에는 암의 가능성은 오히려 아주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기능성 갑상선 결절은 요오드 결핍 지역에서 주로 발견됩니다. 국내와 같이 요오드의 섭취가 풍부한 지역에서는 보통 갑상선호르몬을 분비하지 않는 비기능성 갑상선 결절이고 기능성 갑상선 결절은 아주 희귀합니다. 일부 환자는 결절이 갑자기 커지는 경우 경부, 턱, 귀 부위에 통증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결절이 아주 큰 경우에는 [삼기기 곤란]을 유발하거나 앞쪽 목 부위 불편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기도를 압박하는 경우에는 [호흡 곤란]을 유발합니다. 희귀하지만 결절이 성대 근처의 신경을 자극하는 경우, 목소리의 변화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하기와 같은 경우가 동반되는 때에는 악성의 가능성이 있기에 적극적으로 검사를 해야 합니다.

 

 

 

갑상선 결절 진단, 검사

 

갑상선 결절이 만져지거나, 또는 초음파검사로 발견되면 암 여부를 진단하기 위해서 제일 먼저 해야하는 것은 [세침흡인세포검사]입니다. 초음파 결과에 따라서 확실히 암이 아닌 경우라면 검사가 필요 없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세침흡인세포검사를 제일 우선 실시합니다.

 

▶ 세침흡인세포검사 (Fine-needle aspiration biopsy)

아주 가는 바늘을 사용해서 갑상선 결절에 세포 및 낭액을 채취해서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검사입니다. 여기에 이용되는 바늘은 아주 가늘고 피부에 국소마취를 한 뒤 실시하기에 심한 통증에 대한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진단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 보통 2-3차례 가는 바늘을 사용해 찌르게 됩니다.

 

금식을 하지 않고 실시하고, 실시 후 바로 직장에 복귀해도 됩니다. 이 검사는 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제일 정밀한 검사로 알려졌지만, 100% 정확성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므로, 잘못 암으로 진단하게 되는 위양성과 암인 경우에도 불구하고 양성 결절로 진단하게 되는 위음성이 존재합니다.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오게 됩니다.

 

 

▷ 불충분한 조직채취

전체 세침흡인세포검사의 20% 정도에서는 채취한 세포가 모자라서 병리학적으로 양성이나 악성의 진단을 내릴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별히, 갑상선 결절이 낭종으로 구성된 경우 이런 결과가 자주 나옵니다. 이때 의사가 임상적 상황에 따라 재검을 시행하거나 경과관찰을 결정합니다.

 

▷ 미결정형 결절

전체 검사의 10-20% 정도에서는 양성과 악성을 구별할 수 없는 모호한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이때 대다수는 여포암과 여포선종으로 현미경상 세포모양으로 악성(암) 여부를 판단할 수 없고, 수술 뒤 최종 조직소견을 보아야지만 암인지 여부를 진찰할 수 있습니다. 이때, 최종적 암으로 판명될 가능성은 보통 15-20%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므로, 결절의 크기가 크고 의사의 진찰 소견에서 암을 배제할 수 없으며, 수술적 제거를 권유하고 일부에서는 경과관찰을 하고 재검을 실시하기도 합니다.

 

▷ 악성결절

전체 검사 중 5% 정도의 환자에게 악성결절로 판명됩니다. 이때, 대부분은 갑상선에 생기는 유두암으로 수술로 제거합니다. 그러나, 극히 일부의 경우에 세침흡인세포검사에서는 악성으로 나왔지만 수술 뒤에 양성결절로 판명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 양성결절

전체 검사의 50-60% 정도에서 양성결절로 판정이 나고, 이때 악성종양의 위험성은 아주 낮습니다. 그러므로, 결절이 너무 크지 않거나 증상이 없으면 보통 수술없이 경과관찰을 하게됩니다. 악성결절의 경우에도 1-3% 정도에서 처음 세침흡인세포검사에서는 양성결절로 판정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때문에 본 검사 이외의 다른 소견에서 암이 의심되는 때에는 검사를 반복하기도 합니다. 갑상선 결절이 양성으로 판정되더라도 너무 커서 음식물의 삼킴이나 호흡을 방해할 때는 제거해 줍니다.

 

 

▶ 갑상선스캔

갑상선스캔은 신체에 해가 없는 소량의 방사선물질을 사용해서 갑상선의 전체를 촬영하는 것입니다. 갑상선암세포는 요오드 혹은 테크니슘을 섭취하는 능력이 낮기에 이를 사진으로 확인하기 위해서 실시하는 검사입니다. 일부 갑상선 기능의 항진을 보이는 결절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기도 합니다.

 

▶ 갑상선초음파

갑상선초음파는 갑상선의 결절 개수와 모양을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입니다. 갑상선 결절의 크기를 재서 비교하면서 경과관찰을 하는데 이용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초음파는 암을 의심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줄 수는 있지만, 초음파 만으로는 암을 진단할 수 없기에 필요시 초음파를 보면서 세침흡인세포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갑상선 결절 치료

 

갑상선 결절의 세침흡인세포검사의 진단에 따라 치료가 달라집니다.

 

세침흡인세포검사에서 악성으로 판명되거나 악성이 의심되는 갑상선 결절인 경우에는 수술로 제거합니다. 갑상선 암은 재발이 비교적 흔하기에 재발을 막기 위해서 결절이 없는 갑상선까지도 모두 같이 제거하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갑상선 암 수술 뒤, 방사성동위원소 요오드를 복용하는 추가 방사선 치료로 잔여 갑상선조직을 모두 파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양성으로 판정되서 수술하지 않고, 경과관찰을 하기로 한 결절인 때에는 6개월 내지 12개월 마다 진찰과 초음파 검사 등으로 변화를 보아야합니다. 결절의 크기가 증가하거나 초음파 소견에 새로운 암의 가능성 소견이 보이면 세침흡인세포검사를 다시 받아야 합니다. 갑상선호르몬을 과다 생산하는 결절로 밝혀지면, 암인 경우는 대부분 없지만 갑상선 기능 항진을 조절하기 위해서 수술 혹은 방사성동위원소 요오드로 제거합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갑상선호르몬 과다 생성 결절은 아주 희귀합니다.

 

 

▼ 페이스북 건강정보 받아보기 ▼

[팔로우해서 구독하기]

 

로그인 또는 가입하여 보기

Facebook에서 게시물, 사진 등을 확인하세요.

www.facebook.com

▼ 카카오뷰 건강정보 받아보기 ▼

[우측상단 (+CH)클릭해서 구독하기]

 

미스터리의 건강정보

미스터리의 건강정보

pf.kakao.com

▼ 카카오뷰 심리정보 받아보기 ▼

[우측상단 (+CH)클릭해서 구독하기]

 

미스터리의 심리이야기

미스터리의 심리이야기

pf.kakao.com


이상,

본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하트) 한 번 눌러주세요^^

반응형